학술지/매거진 Current Optics and PhotonicsVol. 9 No. 1 (Feb. 2025) 한국광학회지 Vol. 36 No. 1(Feb. 2025) K-Lightvol. 8 no. 1(Jan. 2025) 한국광학회 공식 SNS 계정 바로가기 트위터 인스타그램
학회소식 학회소식 2025년도 동계학술발표회 우수논문 수상자 명단 2025.02.20 구두세션 번호 분과 논문번호 제목 저자명 성명 소속 교신저자 1 광과학 W1D-I.03 Stable Crystalline Ti3C2Tx MXene for Multispectral EMI Shielding 권지성(고려대), IQUBAL Aamir, 구종민(성균관대), 김명기(고려대) 권지성 고려대 김명기 2 광기술 W3E-II.04 실리콘 웨이퍼 후면에서 두께와 굴절률 동시 측정을 통한 반도체 소자 내부 형상 측정 최형수, 배진호(KAIST), 곽현수, 류성윤, 손영훈(삼성전자), 김정원(KAIST) 최형수 KAIST 김정원 3 디지털 홀로그래피 및 정보광학 W3A-III.04 Time-multiplexed foveated near-eye display with computational holography and focus tunable optics KHEIBARIHAFSHEJANI Sahar(인하대), 박재형(서울대) KHEIBARIHAFSHEJANI Sahar 인하대 박재형 4 양자전자 W3G-IV.03 Electrically tunable nonlinear nonlocal metasurfaces for second harmonic generation 김재성, 이종원(UNIST) 김재성 UNIST 이종원 5 포토닉스 T1B-V.04 전-광 빗을 활용한 X-/Ku-대역 마이크로파 동시 생성 안창민(KAIST), 백선우, 조준형(한화시스템), 배영석(ADD), 김정원(KAIST) 안창민 KAIST 김정원 6 바이오포토닉스 W1C-VI.04 High-Resolution Grism Microspectrometer for Raman Spectroscopic Application 한건희, 김기범, 박정우, 전재훈, 정기훈(KAIST) 한건희 KAIST 정기훈 7 디스플레이 F2F-VII.02 High-reliability random number generator extracted from optical images of the nematic liquid crystal 이재훈, 이준용, 유정선, 김종현(충남대) 이재훈 충남대 김종현 8 양자광학 및 양자정보 F1D-VIII.02 Advanced Photon Pair Generation Using Chip-Scale Cesium Vapor Cells 김희우, 정한솔, 문한섭(부산대) 김희우 부산대 문한섭 9 리소그래피 금년도 해당분과 구두 발표 없음 포스터세션 번호 분과 논문번호 제목 저자명 성명 소속 교신저자 1 광과학 WP-I-.002 Trapping Single Quantum Dot in Nanogap Using 3D Plasmonic Bowtie Antenna Nanostructure 김명기, 이재호, 박누리(고려대) 이재호 고려대 김명기 2 광기술 TP-II-.012 Angle- and polarization-insensitive structural color metasurface using the aperiodic tiling 이민열(KAIST), 전수완(KIMM), 신종화(KAIST) 이민열 KAIST 신종화 3 디지털 홀로그래피 및 정보광학 TP-III-.003 Optical Sensing and Energy Harvesting for Smart Indoor Environments Using Dual-Functional Organic Sensory Device 박민철, 고현우, 조수연(KIST, 고려대), 유병수(KIST, UST), 김태혁(고려대), 윤선규(KOPTI), 김현우(고려대). 황도경(KIST, UST), 심재원(고려대) 고현우 KIST, 고려대 박민철 4 양자전자 WP-IV-.003 Organic Terahertz Emitters with Wide and Flat Spectral Band and Their Applications for Terahertz Spectroscopy 김채윤(KAIST), 이윤상, 오정권, 윤우진, 윤호섭(아주대), JAZBINSEK Mojca(Zurich Univ. of Applied Sciences), 권오필(아주대), ROTERMUND Fabian(KAIST) 김채윤 KAIST 이상민 5 포토닉스 TP-V-.008 자가 위상 결맞음이 가능한 SnP2S6의 이차 조화파 발생 연구(Study of self phase-matched second-harmonic generation in SnP2S6) 최정석, BATOOL Tayyaba, 염동일(아주대) 최정석 아주대 염동일 6 바이오포토닉스 WP-VI-.003 High-throughput Raman screening system based on optical switch Raman spectroscopy capable of measuring 25,500 samples per day 서부원, 최영완, 최우준(중앙대), 정호상, 박성규(KIMS) 서부원 중앙대 최영완, 최우준 7 디스플레이 WP-VII-.002 Micro-OLED black matrix using polarization-independent and incident angle insensitive gap-surface plasmon metasurface 조의수, 이승열(경북대) 조의수 경북대 이승열 8 양자광학 및 양자정보 TP-VIII-.001 전일(all-day) 자유공간 양자 키 분배를 위한 태양광 파장 필터 개발 문지영, 조용기, 김재일, 인용섭, 박남훈(ADD) 문지영 ADD 박남훈 9 리소그래피 TP-IX-.003 Influence of Exposure Mode on the Formation of 3D Nanostructures in Proximity Field Nanopatterning 최희은, 박준용(금오공대) 최희은 금오공대 박준용 학회소식 2025년도 제36회 정기총회 포상자 안내 2025.02.20 부문 수상자 소속 학술대상 서민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논문상 정윤찬 서울대학교 논문장려상 조진희 조선대학교 OSK Journal Contribution Award 한국광학회지부문 이준호 공주대학교 COPP부문 김선경 경희대학교 젊은광과학자상 김은미 한국과학기술원 기술상 주기남 조선대학교 김필한 한국과학기술원 공로상 공로상 한상국 연세대학교 이상민 한국과학기술원 김동현 연세대학교 감사패 조수형 ㈜한화시스템 기탁금에 의한 포상 성도광과학상 성재희 광주과학기술원 해림광자공학상 김훈 한국과학기술원 광기술혁신상 정미숙 한국공학대학교 레이저과학상 김지원 한양대학교 ERICA OPTICA Student Prize 전영진 고려대학교 학회소식 2025년 2월 11일(화)~2월 18일(화) 사무국 외근 안내 2025.02.10 2월 11일(화)-2월 18일(화) 사무국 외근 안내 안녕하세요. 한국광학회입니다. 부산 BEXCO에서 개최되는 ”제36회 정기총회 및 2025 동계학술발표회” 진행으로 인해 2월 11일(화)-2월 18일(화)의 기간 동안 사무국 업무가 일시중단되오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급한 용무가 있으실 경우, 유선연락 대신 학회 대표메일(osk@osk.or.kr)로 문의주시면 빠른 시일 내 순차적으로 처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회원동정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민철 회원, Nature Electronics 지 논문 게재 2025.02.06 Conductive-bridge interlayer contacts for two-dimensional optoelectronic devices 3차원 영상 기술은 물체의 깊이 정보를 정확히 기록하고 재현하여 공간적 데이터를 활용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이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다수의 3차원 영상 획득 시스템은 다중 카메라 또는 결상렌즈와 마이크로렌즈 배열(microlens array; MLA)를 사용함에 따라 렌즈 간 수차(aberration)로 인한 영상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별도의 영상 보정 또는 전용 MLA가 필요하며, 이로 인해 고해상도 구현에 제약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집적 영상(integral imaging) 방식을 단일 화소(single-pixel) 기반 영상 센서와 결합하여 고해상도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하였다. 이 시스템은 단일 MLA를 활용하여 다중 시점의 장면 정보를 기록하고, 이를 광학적 복원(optical reconstruction)을 통해 사실감 있는 3차원 영상을 구현한다. 영상보정 등을 위한 복잡한 알고리즘 없이 MLA만으로 3차원 시각화를 구현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도 실용적이다.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집적 영상 시스템은 획득(pickup)과 복원(reconstruction) 두 단계로 구성된다. 획득 단계에서는 MLA를 사용하여 다양한 시점에서 반사된 빛을 기록하고, 이를 통해 요소 영상(elemental image)을 생성한다. 이 요소 영상은 시점별 깊이 정보를 포함하여 3차원 복원의 기초 데이터를 형성한다. 복원 단계에서는 획득한 요소 영상을 렌즈 배열을 이용해 깊이와 입체감을 가진 3차원 영상으로 구현한다. 이러한 복원 방식은 추가적인 계산 없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3차원 영상을 제공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단일 화소 센서를 활용한 3차원 영상 구현을 위해 2차원 반도체 기반 광 다이오드를 적용하였다. 기존 2차원 반도체 기반 광 다이오드는 5% 미만의 낮은 전력 변환 효율과 제한된 구동 범위로 인해 단일 화소 센서를 통한 고해상도 3차원 영상 구현에 한계가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 새로운 접촉 구조인 전도성 브릿지 중간층 접촉(conductive-bridge interlayer contact; CBIC) 개발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CBIC는 골드 나노 클러스트(gold nanocluster)가 포함된 산화물 중간층으로 구성되어, 낮은 직렬 저항을 통해 높은 전력 변환 효율과 뛰어난 광반응성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CBIC 기반 단일 화소 기반 영상 센서는 122 ㏈의 선형 동적 범위(linear dynamic range), 0.29 A/W의 광응답도(photoresponsivity), 9.9%의 전력 변환 효율을 기록하며, 저광량 환경에서도 우수한 검출 능력을 보였다. 이러한 CBIC 기반 집적 영상 획득 시스템은 반사(reflection) 방식에서 동작하여 실제 응용 환경에 적합한 성능을 검증하였다. RGB 필터를 활용하여 650 ㎚, 550 ㎚과 450 ㎚ 파장에서 요소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결합하여 풀 컬러 3차원 영상을 생성하였다. CBIC 센서는 낮은 광량에서도 안정적인 광전류(photocurrent)를 생성하며, 높은 대조비(contrast)와 선명한 물체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생성된 3차원 영상은 사실적인 깊이와 입체감을 제공하며, 고해상도와 신뢰성을 모두 충족하는 기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렌즈 배열의 변경과 영상 센서의 배열 확장을 통해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3차원 영상 획득 시스템으로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배열의 확장은 더 넓은 시야각과 높은 깊이 해상도를 제공하며, 초고속 영상 처리와 대규모 데이터를 요구하는 산업 환경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실시간 고해상도 풀 컬러 3차원 영상 구현에는 대규모 광센서 배열이 필수적이다. 이 배열은 더 많은 시점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동시 기록하여 영상 품질을 극대화한다. 이는 자율주행 시스템의 실시간 환경 사상(mapping), 정밀 의료 진단, 문화재 복원,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및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장치에서 몰입형 3차원 시스템 구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결론적으로, CBIC 기반 단일 화소 센서를 활용한 2차원 및 3차원 풀 컬러 영상 획득 시스템은 실제 시제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잠재력을 보여준다. Fig. 1 본 연구에서 제안된 CBIC 기반 광 다이오드를 활용한 3차원 풀 컬러 영상 획득 시스템의 구조 및 결과: (a) 3차원 집적 영상 방식의 획득 및 복원 과정. 요소 영상을 기록한 후 렌즈 배열을 통해 3차원 영상을 광학적으로 복원. (b) CBIC 단일 화소 센서를 활용한 3차원 집적 영상의 획득 과정 시스템 모식도. (c) 다양한 파장(빨강: 650 ㎚, 초록: 550 ㎚, 파랑: 450 ㎚)에서 기록된 요소 영상과 이를 결합해 생성된 RGB 풀 컬러 요소 영상. (d) 3차원 집적 영상 복원 과정. (e) 3차원 집적 영상 복원 과정의 세부 모습. 슬라이딩 방향으로 렌즈 배열이 이동하며 복원되고 있는 3차원 영상. (f) CBIC 단일 화소 센서를 활용해 복원된 3차원 풀 컬러 영상. 여러 시점에서 3차원 객체를 사실감 있게 구현. Reference [1] J. Jang, J. P. Hong, S.-J. Kim, J. Ahn, B.-S. Yu, J. Han, K. Lee, A. Ha, E. Yoon, W. Kim, S. Jo, H. W. Ko , S. K. Yoon, T. Taniguchi, K. Watanabe, H. Baek, D.-Y. Kim , K. Lee, S. Mun, K. H. Lee, S. Park, K. Kim, Y. J. Song, S. A. Lee, H. J. Kim, J. W. Shim, G. Wang, J.-H. Kang , M.-C. Park , and D. K. Hwang ,“Conductive-bridge interlayer contacts for two-dimensional optoelectronic devices,”Nat. Electron. (2025). DOI https://doi.org/10.1038/s41928-025-01339-9 집적영상 분야는 故 이병호 교수님께서 많은 기여와 뛰어난 실적을 남기신 분야로, 이번 성과에 부족한 점도 많지만 고인께서 보셨다면 매우 기뻐해 주셨을 것으로 생각하여 본 글을 기고합니다. 다시 한 번 고인의 업적을 기립니다. 학회소식 [한국광학회] 2024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수상 2025.01.23 12월 18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된 '2024년 학술활동 우수학회 시상식 및 성과공유회' 한국광학회(회장 정영욱)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이하 과총)가 선정하는 2024년 학술활동 우수학회로 선정되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과총은 2019년부터 매년 국내 학회의 학술대회 개최 실적, 학술지 발간 실적 등 다양한 학술 활동을 평가하여 우수학회를 선정하고 있습니다. 올해에도 전문가 심층 평가를 통하여 총 10개 학회를 학술활동 우수학회로 선정하였으며, 이 중 5개 학회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5개 학회가 과총 회장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한국광학회는 2022년도 과총 회장상 수상 이력에 이어 2024년도에도 우수학회로 선정되면서 과기정통부 장관상을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본 학회에서는 회원 여러분의 성원에 힘입어 이처럼 영예로운 상을 수상할 수 있었음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한국 광학 분야를 선도하는 중심학회로 거듭날 수 있도록 회원 여러분의 변함없는 관심과 지지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더보기 최근논문 [Editor's Pick]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Vol. 9 no. 1 (2025 February) Recent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Progress on Boson Sampling Changhun Oh*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Vol. 9 No. 1 (2025 Februrary), pp. 1-18 DOI: https://doi.org/10.3807/COPP.2025.9.1.1 Fig. 1 Setup for Fock-state boson sampling. N indistingui shable photons pass through an M-mode interferometer, and then are measured at the output modes on the Fock basis. Reprinted from R. Garcia-Patron et al. Quantum 2019; 3; 169. Copyright © 2019, R. Garcia-Patron et al. [35]. Keywords: Boson sampling, Quantum advantage, Quantum computer, Quantum optics OCIS codes: (270.0270) Quantum optics; (270.5585) Quantum information and processing; (270.6570) Squeezed states Abstract Boson sampling is a restricted model of quantum computation, designed to achieve quantum advantage using nonuniversal quantum systems. By harnessing the quantum interference of indistinguishable bosons (typically photons), it becomes possible to sample from a probability distribution, which is intractable for classical computers. This paper review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boson sampling and its variations, including Fock-state, scattershot, and Gaussian boson sampling, along with significant experimental progress, from early small-scale demonstrations to large-scale quantum supremacy claims. We further explore classical algorithms for simulating boson sampling, which are crucial for benchmarking the performance of experimental results. Finally we examine potential applications of boson sampling in various fields, including simulation of molecular vibronic spectra in quantum chemistry, and solution of graph-based problems in optimization. These applications demonstrate the wide-ranging impact that boson sampling could have on industries that rely on complex computational models, making it a promising quantum technology for near-term applications. [하이라이트 논문] 한국광학회지 Vol. 36 No. 1 (2025 February) Optical Frequency Combs and Their Applications in Timing and Synchronization 광주파수빗을 이용한 타이밍 및 동기화 기술 김정원† 한국광학회지 Vol. 36 No. 1 (2025 February) pp. 1-11 DOI: https://doi.org/10.3807/KJOP.2025.36.1.001 Fig. 1 (a) Optical pulse train in the time domain and optical frequency comb in the frequency domain. (b) Detecting fceo using f-2f self-referencing with an octave-spanning optical frequency comb. Keywords: 모드잠금 레이저, 광주파수빗, 동기화, 타이밍 OCIS codes: (320.7090) Ultrafast lasers; (320.7160) Ultrafast technology 초록 광주파수빗은 초고속 광학과 주파수 측정 분야의 융합을 통하여 발전해 온 기술로, 광 주파수와 마이크로파 주파수 간의 정밀한 연결을 가능 하게 하여 다양한 초정밀 과학 및 공학 분야들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킨 핵심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광주파수빗의 역사적 배경과 이를 생성하는 다양한 광원 기술들을 살펴보고, 저자가 수행한 광주파수빗 기반의 타이밍 및 동기화 연구를 중심으로 주요 성과를 소개한다. Abstract Optical frequency combs have emerged as a transformative technology at the intersection of ultrafast optics and frequency metrology, enabling precise links between optical and microwave frequencies. This advancement has revolutionized various fields of precision science and engineering. This paper review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optical frequency combs and the source technologies used for their generation. It also highlights precision-timing and synchronization applications enabled by optical frequency combs. 더보기 공지사항 연구/과제 [한국연구재단] 국가 공공연구인프라의 원천기술 개발 주제 수요조사 2025.03.20 □ 추진 배경 ○ 기술패권 경쟁의 격화 속에서 국가 공공연구인프라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국가 공공연구인프라에 대한 원천기술 개발 수요 발굴 필요 □ 수요조사 개요 ○ (수요조사 대상 범위) 국가 공공연구인프라에 적용되는 핵심 원천기술 개발 주제 - 국가 공공연구인프라의 신규 구축 또는 국가 공공연구인프라를 활용해 수행하는 연구 수요가 아닌*, 국가 공공연구인프라 구축시 적용되는 핵심 원천기술의 개발 주제**에 대한 수요조사임 * (조사 제외 예시) 방사광가속기 신규 구축(신규 구축 수요), 중이온가속기를 활용한 신규 동위원소 발굴 연구(인프라 활용 연구) ** (조사 대상 예시) 대형가속기‧초전도 자석 등에 적용되는 극저온 냉각 기술 - 본 수요조사서 제출시 핵심 원천기술 개발유형 2가지(▲기술자립형, ▲연구지원형) 중 하나를 선택해 제출 필요 - 수요조사 대상 기술 분야 범위는 ▲수소, ▲이차전지, ▲첨단바이오, ▲차세대 원자력 분야로 한정 ○ (수요조사 응모 기간) `25. 3. 18.(화) ~ 3. 27.(목), 18시까지 ※ 추진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 (수요조사 대상 및 고려사항) -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제14조제1항에 의거한 기관 또는 단체 소속 연구자 - 본 수요조사는 국가 공공연구인프라에 적용되는 핵심 원천기술 개발 수요 파악이 주요 목적이며, 제출된 서류는 일절 반환하지 않음 ○ (수요조사 접수방법) - 기획마루(https://plan.nrf.re.kr) 로그인 → 참여마당 → 특정 기술수요조사 클릭 → 해당수요조사 클릭 → 기술수요조사서 작성본 업로드 ※ 세부 내용 붙임 참고 구인구직 [아주대학교] 2025년도 2학기 아주대학교 교수 초빙 2025.03.19 아주대학교 물리학과에서 아래와 같이 전임교원을 초빙하오니 회원분들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1. 초빙분야: 양자이론, 계산물리 1명 2. 지원자격 ▪ 학위 및 경력 - 물리학과 및 관련 분야의 박사학위 소지자 - 물리학과 학부/대학원(영어) 강의가 가능한 자 ▪ 최저 연구실적 및 기타 필수사항 - SCI 논문 기준 최근 4년간 5편 이상, 이 중 주저자 논문 2편 이상 게재 ▪ 우대사항 - JCR 최상위 저널 게재자 우대 3. 지원자 접수안내 ▪ 공고 및 접수기간: 2025. 3.18(화) ~ 4.4(금) 낮 12:00 (한국시간 기준)까지 온라인 지원 접수 (https://faculty.ajou.ac.kr/faculty/announce/faculty01.do?mode=view&articleNo=341943) 4. 문의처 ▪ 아주대학교 물리학과장 염동일(diyeom@ajou.ac.kr, 031-219-1937) 구인구직 [한국기계연구원] 2025년도 제1회 신입직원 공개 채용 2025.03.17 [해당 채용공고 바로가기] 구인구직 [한국광기술원] 2025년 제1차 계약직 공개 채용 2025.03.11 [한국광기술원 2025년 제1차 계약직 공개채용] ○ 링크: 한국광기술원 채용사이트(https://kopti.recruiter.co.kr) ○ 접수기간: 2025. 3. 12.(수)~3. 27.(목) ※ 첨부파일 1. 2025년 제1차 계약직 공개채용 공고.pdf 2. NCS기반 채용 직무기술서 3. 블라인드 처리 가이드라인 및 샘플(지원서 및 제출서류 등) 구인구직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25년도 KIST 제1차 연구부문 공개채용 2025.03.06 ○ 채용인원 : 박사학위 소지자(정규직)* 총 37명 이내 * 채용공고일 기준 7개월 이내 박사학위 취득 예정자 포함 ○ 지원방법 : KIST 채용 사이트(https://kist.recruitment.kr) ○ 주요일정 - 채용공고/지원서 접수 : ~3.21(금) 17시 *한국시간 기준 - 서류심사 : 4월 중 (5배수 이내 선발) - 인성검사/자질검증세미나(1차면접) : 5월 하순 (3배수 이내 선발) - 종합면접 : 6월 중 - 신원조사 및 채용신체검사 : 7월 중 ※ 세부일정은 변동 가능 더보기
Upcoming Events 제34회 광기술 워크샵 제주 서귀포 KAL호텔 2025.04.15 ~ 2025.04.18 The 13th Asia-Pacific Laser Symposium 2025 (APLS 2025) Seogwipo KAL hotel 2025.05.13 ~ 2025.05.17 제32회 광전자 및 광통신 학술대회 (COOC 2025) 한화리조트 해운대(부산) 2025.05.28 ~ 2025.05.30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