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지/매거진 Current Optics and PhotonicsVol. 9 No. 2 (Apr. 2025) 한국광학회지 Vol. 36 No. 2(Apr. 2025) K-Lightvol. 8 no. 2(Apr. 2025) 한국광학회 공식 SNS 계정 바로가기 트위터 인스타그램
학회소식 학회소식 한국광학회지 구독료 환불 신청 안내 (2025년 5월 30일까지) 2025.05.13 한국광학회지 구독자께, 안녕하세요? 한국광학회입니다. 회원 공지를 통해 안내드린 바와 같이 저희 한국광학회지는 탄소중립 실천을 위해 인쇄본 발간을 중단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에 2025년 6월 ~ 2026년 6월까지 구독기간이 유효한 구독자를 대상으로 아래와 같이 환불 안내를 드립니다. 아래의 사항을 확인하시고, 기한 내 환불 관련 정보를 사무국으로 보내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 환불액: 국문지 1종 구독: 전액 환불(40,000원) 국/영문지 2종 구독: 반액 환불(30,000원) ※ 구독료를 카드로 결제하였을 시, 결제 시기에 따라 계좌이체가 아닌 카드 결제 취소 방식으로 환불될 수 있음 * 환불일: 6월 27일(금) 일괄 환불 * 환불 신청 접수 기간: 2025년 5월 30일(금)까지 * 환불 신청 양식: 첨부의 양식 참조 * 환불 신청 방법: 첨부의 양식을 작성하시어 editorial@osk.or.kr 로 메일 접수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실 시 editorial@osk.or.kr 혹은 070-4165-3269 (오은정 대리)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한국광학회 드림 학회소식 2025 제8회 세계 빛의 날 기념행사 및 특별강연 2025.04.22 [2025 제8회 세계 빛의 날 기념행사 및 특별강연 - APLS 2025 바로가기] [2025 제8회 세계 빛의 날 기념행사 및 특별강연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바로가기] 학회소식 한국광학회지 인쇄본 발간 중단 안내 (25년 6월호부터) 2025.04.10 한국광학회 회원께, 안녕하세요? 한국광학회입니다. 그간 저희 한국광학회지에 보내어 주신 성원과 관심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본 학술지 편집위원회에서는 논문 접근 방법이 인쇄본 구입에서 온라인 상의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것으로 변화하는 추세와 탄소중립 실천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한국광학회지의 실물 인쇄본 제작을 점진적 중단하기로 결정하였음을 안내하여 드립니다. 한국광학회지의 실물 인쇄본 발간은 중단되나, 온라인본 발간은 계속됩니다. 앞으로 저희 한국광학회지는 인쇄본 발간 대신 온라인본의 품질 향상에 더욱 힘쓰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예정입니다. 인쇄본 발간 중단은 다음의 일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인쇄본 발간 중단 일정] - 2025년 4월: 인쇄본 발간 중단 공지 - 2025년 5월: 환불 안내(인쇄본 구독회원용) - 2025년 6월: 인쇄본 발간 중단 [환불 정책] 2025년 6월 25일 당일까지 구독기간이 유효한 구독자를 대상으로 환불 조사 후, 환불을 신청한 구독자에 한해 환불 진행 구분 구독료 환불액 학술지 1종 구독 40,000원 40,000원 학술지 2종 구독 60,000원 30,000원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실 시 070-4165-3269 또는 editorial@osk.or.kr (오은정 대리)로 회신을 부탁드립니다. 앞으로도 저희 한국광학회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한국광학회지 편집위원장 유난이 드림 학회소식 2025년도 동계학술발표회 우수논문 수상자 명단 2025.02.20 구두세션 번호 분과 논문번호 제목 저자명 성명 소속 교신저자 1 광과학 W1D-I.03 Stable Crystalline Ti3C2Tx MXene for Multispectral EMI Shielding 권지성(고려대), IQUBAL Aamir, 구종민(성균관대), 김명기(고려대) 권지성 고려대 김명기 2 광기술 W3E-II.04 실리콘 웨이퍼 후면에서 두께와 굴절률 동시 측정을 통한 반도체 소자 내부 형상 측정 최형수, 배진호(KAIST), 곽현수, 류성윤, 손영훈(삼성전자), 김정원(KAIST) 최형수 KAIST 김정원 3 디지털 홀로그래피 및 정보광학 W3A-III.04 Time-multiplexed foveated near-eye display with computational holography and focus tunable optics KHEIBARIHAFSHEJANI Sahar(인하대), 박재형(서울대) KHEIBARIHAFSHEJANI Sahar 인하대 박재형 4 양자전자 W3G-IV.03 Electrically tunable nonlinear nonlocal metasurfaces for second harmonic generation 김재성, 이종원(UNIST) 김재성 UNIST 이종원 5 포토닉스 T1B-V.04 전-광 빗을 활용한 X-/Ku-대역 마이크로파 동시 생성 안창민(KAIST), 백선우, 조준형(한화시스템), 배영석(ADD), 김정원(KAIST) 안창민 KAIST 김정원 6 바이오포토닉스 W1C-VI.04 High-Resolution Grism Microspectrometer for Raman Spectroscopic Application 한건희, 김기범, 박정우, 전재훈, 정기훈(KAIST) 한건희 KAIST 정기훈 7 디스플레이 F2F-VII.02 High-reliability random number generator extracted from optical images of the nematic liquid crystal 이재훈, 이준용, 유정선, 김종현(충남대) 이재훈 충남대 김종현 8 양자광학 및 양자정보 F1D-VIII.02 Advanced Photon Pair Generation Using Chip-Scale Cesium Vapor Cells 김희우, 정한솔, 문한섭(부산대) 김희우 부산대 문한섭 9 리소그래피 금년도 해당분과 구두 발표 없음 포스터세션 번호 분과 논문번호 제목 저자명 성명 소속 교신저자 1 광과학 WP-I-.002 Trapping Single Quantum Dot in Nanogap Using 3D Plasmonic Bowtie Antenna Nanostructure 김명기, 이재호, 박누리(고려대) 이재호 고려대 김명기 2 광기술 TP-II-.012 Angle- and polarization-insensitive structural color metasurface using the aperiodic tiling 이민열(KAIST), 전수완(KIMM), 신종화(KAIST) 이민열 KAIST 신종화 3 디지털 홀로그래피 및 정보광학 TP-III-.003 Optical Sensing and Energy Harvesting for Smart Indoor Environments Using Dual-Functional Organic Sensory Device 박민철, 고현우, 조수연(KIST, 고려대), 유병수(KIST, UST), 김태혁(고려대), 윤선규(KOPTI), 김현우(고려대). 황도경(KIST, UST), 심재원(고려대) 고현우 KIST, 고려대 박민철 4 양자전자 WP-IV-.003 Organic Terahertz Emitters with Wide and Flat Spectral Band and Their Applications for Terahertz Spectroscopy 김채윤(KAIST), 이윤상, 오정권, 윤우진, 윤호섭(아주대), JAZBINSEK Mojca(Zurich Univ. of Applied Sciences), 권오필(아주대), ROTERMUND Fabian(KAIST) 김채윤 KAIST 이상민 5 포토닉스 TP-V-.008 자가 위상 결맞음이 가능한 SnP2S6의 이차 조화파 발생 연구(Study of self phase-matched second-harmonic generation in SnP2S6) 최정석, BATOOL Tayyaba, 염동일(아주대) 최정석 아주대 염동일 6 바이오포토닉스 WP-VI-.003 High-throughput Raman screening system based on optical switch Raman spectroscopy capable of measuring 25,500 samples per day 서부원, 최영완, 최우준(중앙대), 정호상, 박성규(KIMS) 서부원 중앙대 최영완, 최우준 7 디스플레이 WP-VII-.002 Micro-OLED black matrix using polarization-independent and incident angle insensitive gap-surface plasmon metasurface 조의수, 이승열(경북대) 조의수 경북대 이승열 8 양자광학 및 양자정보 TP-VIII-.001 전일(all-day) 자유공간 양자 키 분배를 위한 태양광 파장 필터 개발 문지영, 조용기, 김재일, 인용섭, 박남훈(ADD) 문지영 ADD 박남훈 9 리소그래피 TP-IX-.003 Influence of Exposure Mode on the Formation of 3D Nanostructures in Proximity Field Nanopatterning 최희은, 박준용(금오공대) 최희은 금오공대 박준용 학회소식 2025년도 제36회 정기총회 포상자 안내 2025.02.20 부문 수상자 소속 학술대상 서민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논문상 정윤찬 서울대학교 논문장려상 조진희 조선대학교 OSK Journal Contribution Award 한국광학회지부문 이준호 공주대학교 COPP부문 김선경 경희대학교 젊은광과학자상 김은미 한국과학기술원 기술상 주기남 조선대학교 김필한 한국과학기술원 공로상 공로상 한상국 연세대학교 이상민 한국과학기술원 김동현 연세대학교 감사패 조수형 ㈜한화시스템 기탁금에 의한 포상 성도광과학상 성재희 광주과학기술원 해림광자공학상 김훈 한국과학기술원 광기술혁신상 정미숙 한국공학대학교 레이저과학상 김지원 한양대학교 ERICA OPTICA Student Prize 전영진 고려대학교 더보기 최근논문 [하이라이트 논문] 한국광학회지 Vol. 36 No. 2 (2025 April) Wavelength-swept Source-based Wide Line-fiel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ystem 파장가변광원 기반 광폭 선형영역 광결맞음 단층영상 시스템 이승석ㆍ마혜준ㆍ김현성ㆍ최은서† 한국광학회지 Vol. 36 No. 2 (2025 April), pp. 85-93 DOI: https://doi.org/10.3807/KJOP.2025.36.2.085 Fig. 1 Lab-built wavelength-swept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omprises two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s (SOAs), two isolators, a Fabry-Perot (FP) filter, and an output coupler. SOA2 is employed to amplify the output power emitted from the ring cavity. Keywords: 대면적, 비주사, 광단층촬영법, 파장가변광원, 광폭 선형영역 OCIS codes: (100.6950) Tomographic image processing; (110.3175) Interferometric imaging; (120.3180) Interferometry 초록 본 논문에서는 전수검사에 활용하기 위해 개발된 line-fiel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LF-OCT) 시스템의 성능을 제시하였다. 광섬유 고리 공진기와 파장가변필터를 이용한 파장가변광원은 중심파장 1330 nm, 파장 반치폭 80 nm, 출력 광세기 90 mW의 특성을 보이며 100 Hz의 반복률로 동작하였다. 총 3장의 렌즈로 구성된 광폭 스캔 렌즈는 폭 100 mm 이하, 200 mm 길이의 선형빔을 발생시킬 수 있었 다. 파장가변광원과 절반 크기로 가공된 광폭 스캔 렌즈를 가지고 마이켈슨 간섭계 형태로 구현된 LF-OCT 시스템은 20 mm의 깊이 분해능과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the performance of a line-fiel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LF-OCT) system developed for full inspection. A wavelengthswept light source using a fiber ring resonator and a wavelength-tunable filter was operated at a repetition rate of 100 Hz with a center wavelength of 1330 nm, a spectral bandwidth of 80 nm, and an output power of 90 mW. The wide scan lens, designed in three lenses, could generate a line-field beam less than 100 mm wide and 200 mm long. The LF-OCT system implemented in a Michelson interferometer with a wavelength-swept light source and a wide-scan lens fabricated to half its dimension presented an axial resolution of 20 mm and a depth range of 2.84 mm at 3 dB. We could confirm 3 mm imaging depth through gauge block imaging and obtain 100-mm-wide tomographic images of a metal ruler without scanning. By optimizing the implemented LF-OCT, we will be able to demonstrate its utility as an inspection device for real-time, full-scale inspections required in industrial fields. [Editor's Pick]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Vol. 9 no. 2 (2025 April) High-harmonic Generation in van der Waals Two-dimensional Materials Dasol Kim, Alexis Chacon, and Jonghwan Kim*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Vol. 9 No. 2 (2025 April), pp. 95-107 DOI: https://doi.org/10.3807/COPP.2025.9.2.95 Fig. 1 Schematics of high-harmonic generation in van der Waals (vdW) 2D materials: (a) Commonly used vdW 2D materials. (b) Experimental configuration of high-harmonic-generation measurement. Keywords: High energy photon sources, High harmonic generation, Solid state physics, Strong-field, light-matter interaction, van der Waals 2D materials OCIS codes: (040.7480) X-rays, soft X-rays, extreme ultraviolet (EUV); (140.0140) Lasers and laser optics; (160.4330) Nonlinear optical materials; (190.0190) Nonlinear optics; (320.0320) Ultrafast optics Abstract High-harmonic generation (HHG) in gases has long enabled tabletop access to coherent extreme ultraviolet (XUV) and soft X-ray radiation. More recently HHG has been extended to the solid-state realm, offering potential advantages such as higher conversion efficiency, tunability via band-structure engineering, and integration with photonic devices. Among emerging solid-state platforms, van der Waals (vdW) two-dimensional (2D) materials—e.g., graphene, transition-metal dichalcogenides (TMDs), and black phosphorus—exhibit pronounced quantum confinement, strong excitonic effects, and valleyselective dynamics. These properties yield unique HHG signatures, including polarization dependence, extended harmonic orders, and topological effects. This review summarizes fundamental mechanisms of HHG in vdW 2D materials, key experimental breakthroughs, and state-of-the-art theoretical approaches. We discuss exciton-driven enhancements, Berry-curvature-induced polarization, and device-integration challenges. We also highlight prospective directions, such as advanced ultrafast spectroscopy and applications in attosecond science, underscoring the rich opportunities and persistent challenges in harnessing strong-field light-matter interactions in 2D quantum materials. 더보기 공지사항 행사안내 2025 태성에스엔이 Optics Day - 차세대 광학 기술과 실무 인사이트 세미나 개최 안내 2025.06.10 ■ 행사 개요 - 행사명: 2025 태성에스엔이 Optics Day - 차세대 광학 기술과 실무 인사이트 세미나 - 일시: 6월 19일(목) 13:00 – 17:00 - 장소: 포스코타워 역삼 3층 이벤트홀 - 사전등록링크: https://www.etsne.com/seminar/view/562 - 아젠다 및 행사 개요 (아래 이미지 참고) 행사안내 [퀀텀 코리아(Quantum Korea)] 행사 안내 2025.06.09 퀀텀코리아 2025 개최 안내 2025년은 UN이 지정한 ‘세계 양자과학 및 기술의 해’ 입니다. 이를 기념하여, 이론적 연구를 넘어 산업 응용과 상용화를 바라보는 양자과학기술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조망하고자, 다음과 같이 국내외 양자과학기술 연구자 및 관련 기업, 정부대표 등이 참여하여 글로벌 양자생태계 혁신 흐름을 조망하는 국제행사를 개최합니다. 회원님들의 많은 참여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 행사명 : 퀀텀 코리아 2025 ○ 슬로건 : 100년의 양자, 산업을 깨우다 ○ 행사 기간 : 2025.6.24.(화) ~ 6.26.(목) ○ 운영 시간 : 10:00 ~ 17:00 ○ 행사 장소 : aT 센터 제2전시장, 3F ~ 5F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 27) ○ 주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퀀텀코리아2025조직위원회 ○ 프로그램 - 공식 행사 : 개막식 - 전시 : 양자 관련 기업 보유 기술 및 제품·서비스 소개, 연구 성과, 비즈니스 네트워킹 나이트, 전시자 포럼 등 - 컨퍼런스 : 학술 세션, 양자 산업 세션, 대중 강연 등 - 국제협력 프로그램 : * 퀀텀 프런티어 포럼, OECD 공개 워크숍 * [초청행사] Waiting for Quantum Korea(한국-스위스 교류 행사), 라운드 테이블, 퀀텀 대화 등 ○ 홈페이지 : www.quantum-korea.kr 구인구직 [한국원자력연구원] 2025년 하반기 박사후연수생 공개채용 2025.05.23 [한국원자력연구원] 2025년 하반기 박사후연수생 공개채용 (분광용 레이저 기술개발, 동위원소 성분비 측정 기술 개발 분야) o 지원 방법(온라인 지원) : https://kaeri.recruitment.kr/app/jobnotice/view?systemKindCode=MRS2&jobnoticeSn=91 o 접수 기간 : 2025.5.20(화) ~ 2025.6.4(수) 16:00 구인구직 [국립금오공과대학교] 2025년 하반기 전임교원(교육공무원) 공개 채용 2025.05.20 2025년 하반기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전임교원(교육공무원) 공개채용을 실시하오니 책임 있는 교육과 창의적인 연구를 통해 국가와 지역 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우수하고 역량 있는 분들께서는 많은 지원 바랍니다. 1. 초빙분야 학부(과, 전공) 초빙분야 인원 비 고(추가 지원자격) 일반 교수 광시스템공학과 광학 전 분야 1 물리학 학부, 대학원 강의가 가능한 자 2. 공고기간 : 2025. 5. 16.(금) ~ 5. 30.(금) 3. 접수기간 : 2025. 5. 19.(월) 10:00 ~ 5. 30.(금) 17:00까지 4. 접수방법 : https://kit.kumoh.ac.kr/recruitment/index.jsp 5. 공고사이트 : 본교홈페이지, ㈜하이브레인넷(https//www.hibrain.net), 나라일터(https://www.gojobs.go.kr) 6. 서류제출 : 인터넷으로 지원서 접수 및 파일 업로드 7. 문의처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교무처 교수인사팀(054-478-7245) 행사안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Conference 2025 개최 안내 2025.05.19 오는 6월 5일(목), “ETRI의 현재, 대한민국의 미래”를 주제로『ETRI 컨퍼런스 2025』를 개최합니다. 본 행사는 ICT 주요 분야에서 ETRI가 수행한 연구성과와 미래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로, 주요 고객과 전문가들이 함께하는 협력과 교류의 장이 될 예정입니다. 더보기
Upcoming Events 광과학 광반도체 워크숍 2025 (OSW 2025) 수원컨벤션센터 2025.06.16 ~ 2025.06.18 2025 차세대 리소그래피 + 패터닝 단기강좌 (NGL 2025 Short Course Series) 국립강릉원주대학교 강릉캠퍼스 2025.06.23 ~ 2025.06.27 Optics and Photonics Congress 2025 (OPC 2025) 제주 국제컨벤션센터 (ICC Jeju) 2025.07.06 ~ 2025.07.09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