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지/매거진 Current Optics and PhotonicsVol. 9 No. 3 (Jun. 2025) 한국광학회지 Vol. 36 No. 3(Jun. 2025) K-Lightvol. 8 no. 2(Apr. 2025) 한국광학회 공식 SNS 계정 바로가기 트위터 인스타그램
학회소식 학회소식 Optics and Photonics Congress 2025 학생 우수논문 수상자 명단 2025.07.14 구두세션 번호 분과 논문번호 제목 성명 소속 1 광과학 W3F-I.02 Photothermal manipulation of high-order topological quasiparticles 김재유 KAIST 2 광기술 T1H-II.05 Authentication and Artwork Preservation Monitoring using THz Metasurface 노의영 KIST, 고려대 3 디지털홀로그래피 및 정보광학 T2G-III.03 루프 내 카메라 기반 압축 전파 모델링 및 비간섭성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 최적화 신민재 서울대 4 양자전자 W2D-IV.02 Raman-Suppressed Kerr Microcomb Generation in X-Cut Thin-Film Lithium Niobate Photonic-Crystal Fabry–Pérot Micro-Resonator 고석주 KAIST 5 포토닉스 M1B-V.01 Sub-Nanometer Precision Transfer Printing for Nano-Scale TE/TM Laser Integration on Photonic Chips 신동민 고려대 6 바이오포토닉스 T1E-VI.04 Enhancing Axial Resolution in Super-resolved Imaging with Axial Interference Speckle Illumination 유하준 연세대 7 디스플레이 M3F-VII.02 천연 첨가제를 도입한 친환경 고분자 기반 OLED 특성 향상 필름 개발 성백상 한밭대 8 M3F-VII.03 고종횡비 렌즈를 이용한 마이크로디스플레이용 컬러필터 상부발광 WOLED의 효율 개선 이주호 ETRI, 한밭대 9 양자광학 및 양자정보 M1C-VIII.02 On-Chip Ququart Photonic Processor on LNOI 이진일 KIST, UST 10 리소그래피 금년도 해당분과 구두 발표 없음 11 Joint Symposia Optical Science 금년도 해당분과 구두 발표 없음 12 Joint Symposia Applied Optics W2A-XI.02 High-refractive-index hollow silica nanoparticles for radiative cooling patterns with 3D printability SHINDE Preeti 경희대 포스터세션 번호 분과 논문번호 제목 성명 소속 1 광과학 MP-I-.006 Boosting Nonlinear signals in gap-plasmon nanoantenna via gold nanoparticle coupling 이재호 고려대 2 광기술 MP-II-.020 A Study on the Robustness of Single-Pixel Imaging Using Spatially Reordered Hadamard Patterns in Scattering media 박종현 서울대 3 디지털홀로그래피 및 정보광학 MP-III-.013 대면적 전방향 체적 디스플레이 임현빈 경북대 4 양자전자 TP-IV-.008 Anomalous Mode-Dependent Dynamics of Coherent Interlayer Phonons Excited by Light 오언택 KAIST 5 포토닉스 TP-V-.027 Dual racetrack resonator for 130-nm tuning range 김주원 UNIST 6 바이오포토닉스 MP-VI-.003 Design of Photothermal-Integrated Centrifugal Disc with Structure-guided Partitioning for Digital PCR 장혜진 KAIST 7 디스플레이 TP-VII-.006 Eco-Friendly Solvent-Based Inkjet Printing with Controlled Marangoni Flow for Uniform Thin Films 김민선 단국대 8 양자광학 및 양자정보 MP-VIII-.005 Photonic Device Fabricated on Diamond Membrane 최예은 KIST, 고려대 9 리소그래피 TP-IX-.001 Synthesis and Evaluation of the new photoresist using photo-fluidization characteristic of azobenzene materials for EUV lithography. 노도연 고려대 10 Joint Symposia Optical Science 금년도 해당분과 포스터 발표 없음 11 Joint Symposia Applied Optics 금년도 해당분과 포스터 발표 없음 학회소식 2025년 7월 7일(월)~7월 11일(금) 사무국 외근 안내 2025.07.01 7월 7일(월)-7월 11일(금) 사무국 외근 안내 제주 ICC에서 개최되는 “Optics and Photonics Congress 2025” 진행을 위해 7월 7일(월)~11일(금)의 기간동안 전화 수신 및 이메일 확인 등 사무국 전체 업무가 지연되오니 너른 양해 부탁드립니다. 급한 용무가 있으실 경우, 유선연락 대신 한국광학회 대표메일(osk@osk.or.kr)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학회소식 한국광학회지 구독료 환불 신청 안내 (2025년 5월 30일까지) 2025.05.13 한국광학회지 구독자께, 안녕하세요? 한국광학회입니다. 회원 공지를 통해 안내드린 바와 같이 저희 한국광학회지는 탄소중립 실천을 위해 인쇄본 발간을 중단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에 2025년 6월 ~ 2026년 6월까지 구독기간이 유효한 구독자를 대상으로 아래와 같이 환불 안내를 드립니다. 아래의 사항을 확인하시고, 기한 내 환불 관련 정보를 사무국으로 보내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 환불액: 국문지 1종 구독: 전액 환불(40,000원) 국/영문지 2종 구독: 반액 환불(30,000원) ※ 구독료를 카드로 결제하였을 시, 결제 시기에 따라 계좌이체가 아닌 카드 결제 취소 방식으로 환불될 수 있음 * 환불일: 6월 27일(금) 일괄 환불 * 환불 신청 접수 기간: 2025년 5월 30일(금)까지 * 환불 신청 양식: 첨부의 양식 참조 * 환불 신청 방법: 첨부의 양식을 작성하시어 editorial@osk.or.kr 로 메일 접수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실 시 editorial@osk.or.kr 혹은 070-4165-3269 (오은정 대리)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한국광학회 드림 학회소식 2025 제8회 세계 빛의 날 기념행사 및 특별강연 2025.04.22 [2025 제8회 세계 빛의 날 기념행사 및 특별강연 - APLS 2025 바로가기] [2025 제8회 세계 빛의 날 기념행사 및 특별강연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바로가기] 학회소식 한국광학회지 인쇄본 발간 중단 안내 (25년 6월호부터) 2025.04.10 한국광학회 회원께, 안녕하세요? 한국광학회입니다. 그간 저희 한국광학회지에 보내어 주신 성원과 관심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본 학술지 편집위원회에서는 논문 접근 방법이 인쇄본 구입에서 온라인 상의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것으로 변화하는 추세와 탄소중립 실천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한국광학회지의 실물 인쇄본 제작을 점진적 중단하기로 결정하였음을 안내하여 드립니다. 한국광학회지의 실물 인쇄본 발간은 중단되나, 온라인본 발간은 계속됩니다. 앞으로 저희 한국광학회지는 인쇄본 발간 대신 온라인본의 품질 향상에 더욱 힘쓰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예정입니다. 인쇄본 발간 중단은 다음의 일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인쇄본 발간 중단 일정] - 2025년 4월: 인쇄본 발간 중단 공지 - 2025년 5월: 환불 안내(인쇄본 구독회원용) - 2025년 6월: 인쇄본 발간 중단 [환불 정책] 2025년 6월 25일 당일까지 구독기간이 유효한 구독자를 대상으로 환불 조사 후, 환불을 신청한 구독자에 한해 환불 진행 구분 구독료 환불액 학술지 1종 구독 40,000원 40,000원 학술지 2종 구독 60,000원 30,000원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실 시 070-4165-3269 또는 editorial@osk.or.kr (오은정 대리)로 회신을 부탁드립니다. 앞으로도 저희 한국광학회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한국광학회지 편집위원장 유난이 드림 더보기 최근논문 [Editor's Pick]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Vol. 9 no. 3 (2025 Jun)_2nd 10 W 15 ns 300 kHz Red-emission of 650 nm Based on Third-harmonic Generation from Thulium-doped Fiber Laser at 1950 nm Jinju Kim*, Yong-Ho Cha, Woo-Sang Yu, and Kwang-Hoon Ko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Vol. 9 No. 3 (2025 June), pp. 202-208 DOI: https://doi.org/10.3807/COPP.2025.9.3.202 Fig. 1 The experimental setup of the 650 nm red laser system includes the following components: Laser diode (LD), isolator (ISO), bandpass filter (BPF), fiber amplifier (FA), electro-optic modulator (EOM), acousto-optic modulator (AOM), circulator, secondharmonic generator (SHG), and third-harmonic generator (THG). Keywords: Fiber laser, Frequency tripling, PPLN, Thulium laser OCIS codes: (140.3280) Laser amplifiers; (140.3460) Lasers; (140.3510) Laser, fiber Abstract A 10 W, 15 ns, 300 kHz pulsed laser emitting at 650 nm was developed through second- and thirdharmonic generation based on a 20 W pulsed thulium-doped all-fiber laser operating at 1950 nm. The 1950 nm all-fiber laser, which was constructed using a master oscillator power amplifier configuration, comprised one continuous-wave amplifier, two pulsed pre-amplifiers, and a final main amplifier. The amplified output power at the fundamental wavelength was 20 W and it was frequency-tripled to 650 nm using two MgO-doped periodically poled lithium niobate crystals. The maximum emission power achieved at 650 nm was 10 W and the conversion efficiency from 1950 nm to 650 nm was around 50%.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represents the first development of a nanosecond-pulsed 650 nm emitting source that attains an output power of 10 W through the frequency-tripling of a thulium-doped fiber laser. [Editor's Pick]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Vol. 9 no. 3 (2025 Jun)_1st MEMS Actuators for Tunable Waveguide Devices in Photonic Integrated Circuits: A Brief Review Dongju Choi, Young Jae Park, Man Jae Her, and Sangyoon Han*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Vol. 9 No. 3 (2025 June), pp. 185-195 DOI: https://doi.org/10.3807/COPP.2025.9.3.185 Fig. 1 Schematic illustration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based optical phase shifters using mecha nically movable waveguides: (a) 3D schematic depicting two parallel waveguides (main and perturbing waveguides), where the perturbing waveguide can move either horizontally (inplane actuation) or vertically (out-of-plane actuation). Top of (b) and left-side of (c) are optical mode profiles with distant waveguides for in-plane and vertical configurations. Bottom of (b) and right-side of (c) are optical mode profiles showing significant mode expansion when waveguides are brought closer in both in-plane and vertical directions. Keywords: Actuator,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Photonic integrated circuits, Waveguide OCIS codes: (230.0230) Optical devices; (230.4685) Optical microelectromechanical devices; (230.7370) Waveguides; (250.5300) Photonic integrated circuits; Abstract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based tuning methods offer promising solutions for dynamically controlling optical properties in photonic integrated circuits (PICs) to address the limitation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approaches that rely on direct modulation of the material’s refractive index.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thermo-optic, plasma dispersion, and electro-optic modulation, face significant challenges including high energy consumption, limited refractive index change, and issues with heat dissipation and optical losses. By contrast, MEMS-based actuators directly reposition optical components, enabling reduced device footprints, negligible static power consumption, rapid response times, and improved reliability. This paper systematically explores the operating principles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five representative MEMS actuator technologies widely used in tunable waveguide devices: In-plane comb-drive actuators, cantilever actuators, gap-reducing actuators, vertical digital actuators, and vertical comb-drive actuators. Each actuator type is analyzed for its distinct advantages and challenges, with considerations such as device compactness, switching speed, voltage requirements, and robustness against reliability issues such as pull-in phenomena and stiction. The insights presented emphasize the substantial potential of MEMS-based tuning methods to advance the scalability, energy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next-generation PICs. Continued research into improving actuator performance, including increased operation speed, lower operating voltages, and further miniaturization, will be critical to achieving widespread integration and adoption. 더보기 공지사항 구인구직 [AI-SSI InnoCORE 연구단 포스닥(Postdoctoral Fellow) 모집 공고] 2025.07.15 [AI-SSI InnoCORE 연구단 포스닥(Postdoctoral Fellow) 모집 공고] - 비선형 광학 및 양자 이미징 분야 - 1. 소속 및 근무지 ·기관명: D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바이오메디컬융합연구부 ·연구실명: 비선형 광학 이미징 연구실 (지도교수: 김현민 책임연구원) ·근무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DGIST 캠퍼스 2. 모집 분야 및 인원 ·모집 분야: 비선형 광학, 양자광학, 생체광학, 나노광학 관련 분야 ·모집 인원: 1명 ·근무 형태: 전일제(Postdoctoral Fellow) ·계약 기간: 최초 1년 계약, 평가에 따라 최대 3년까지 연장 가능 3. 급여 및 처우 ·연봉: 90,000,000원/년 (4대 보험 등 법정 부담금 포함) ·타 연구과제 중복수혜 가능 ·DGIST 내 우수 연구환경 제공 4. 연구과제 개요 및 연구실 소개 김현민 책임연구원이 이끄는 비선형 광학 이미징 연구실은 양자 및 비선형 광학 현상을 활용한 차세대 바이오 이미징 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있으며, 현재는 UNIST 주관 InnoCORE 연구단 과제를 참여 수행 중입니다. 본 과제는 양자광원 및 비선형 현상을 기반으로 생체조직의 고해상도, 고감도 이미징 기술을 개발하여 기존 광학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주요 연구 주제: ·SHG, THG, 2PEF, CARS 등 비선형 광학 현상을 활용한 생체조직 고해상도 영상 ·양자광원 기반 이미징 시스템 구축 및 신호 검출 알고리즘 개발 ·다중파장 및 적외선 생체 이미징 기술 5. 지원자격 및 우대사항 ·박사학위 소지자 또는 6개월 이내 학위 수여 예정자 ·전공분야: 물리학, 광학, 전자공학, 생명공학, 재료공학 등 관련 분야 ·비선형광학, 레이저광학, 생체광학, 양자광학 관련 실험 경험자 우대 ·프로그래밍(예: Python, MATLAB) 또는 영상처리 경험 보유자 우대 ·독립적이고 창의적인 연구 수행 능력 보유자 6. 제출서류 및 접수 방법 ·제출서류: ① 이력서(CV) 및 주요 연구실적 목록 ② 자기소개서 및 연구 관심 분야 기술 (자유 형식, A4 1~2매 이내) ③ 추천인 1인 이상의 연락처 (추천서 제출은 서류 합격자에 한해 요청) ·제출방법: 이메일 접수 (PDF 파일 첨부) o 접수처: hyunmin.kim@dgist.ac.kr o 이메일 제목: [포스닥 지원_성명] 형식으로 제출 7. 전형절차 ·1차: 서류심사 ·2차: 온라인 인터뷰 (필요 시 추가 미팅 가능) 8. 접수 마감 ·상시 모집 (적임자 채용 시 조기 마감 가능) 9. 문의처 ·김현민 책임연구원 (DGIST): hyunmin.kim@dgist.ac.kr 선도 논문 (Selected Publications): 1. Lee, G. et al., Confocal nonlinear optical imaging on hexagonal boron nitride nanosheets, PhotoniX 4, 27 (2023) 2. Dhakal, K.P. et al., Probing the upper band gap of atomic rhenium disulfide layers, Light Sci Appl 7, 98 (2018) 3. Jang, H. et al., Transient SHG Imaging on Ultrafast Carrier Dynamics of MoS2 Nanosheets, Adv Mater 30(14):1705190 (2018) 연구/과제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양자기술·산업팀] 정보통신·방송 연구개발(ICT R&D) 신규과제 기획 기술수요조사 2025.07.09 회원님들께, 정보통신기획평가원에서 아래와 같이 기술수요조사 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아래 리플렛을 참고하시어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구인구직 [한국광기술원] 2025년 하반기 일반직 및 전문직 채용 2025.07.04 [한국광기술원 2025년 하반기 일반직 및 전문직 채용] ○ 링크: 한국광기술원 채용사이트(https://kopti.recruiter.co.kr) ○ 접수기간: 2025. 7. 7.(월)~7. 22.(화) 구인구직 [한국광기술원] 2025년 제2차 계약직 공개채용 2025.06.25 [한국광기술원 2025년 제2차 계약직 공개채용] ○ 링크: 한국광기술원 채용사이트(https://kopti.recruiter.co.kr) ○ 접수기간: 2025. 6. 26.(목)~7. 11.(금) ※ 첨부파일 1. 2025년 제2차 계약직 공개채용 공고.jpg 2. 2025년 제2차 계약직 공개채용 공고.pdf 3. NCS기반 채용 직무기술서 행사안내 2025 태성에스엔이 Optics Day - 차세대 광학 기술과 실무 인사이트 세미나 개최 안내 2025.06.10 ■ 행사 개요 - 행사명: 2025 태성에스엔이 Optics Day - 차세대 광학 기술과 실무 인사이트 세미나 - 일시: 6월 19일(목) 13:00 – 17:00 - 장소: 포스코타워 역삼 3층 이벤트홀 - 사전등록링크: https://www.etsne.com/seminar/view/562 - 아젠다 및 행사 개요 (아래 이미지 참고) 더보기
Upcoming Events 2025 차세대 리소그래피 + 패터닝 학술대회 (2025 NGL) 수원컨벤션센터 2025.08.11 ~ 2025.08.12 제7회 ITRC 양자정보과학 여름학교 온라인 (ZOOM) 2025.08.19 ~ 2025.08.20 SPIE Advanced Biophotonics Conference 2025 제주 함덕 소노벨 호텔&리조트 2025.10.29 ~ 2025.11.0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