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지/매거진 Current Optics and PhotonicsVol. 7 No. 5 (Oct. 2023) 한국광학회지 Vol. 34, No. 5(Oct. 2023) K-LightVol. 6, no. 4(Oct. 2023) 한국광학회 공식 SNS 계정 바로가기 트위터 인스타그램
학회소식 학회소식 2023년 젊은과학자 학술연구 지원사업 선정자 발표 2023.11.02 2023년 젊은과학자 학술연구 지원사업 선정자 발표 성명/소속 서동민 / 세명대학교 전기공학과 연구실명/연구분야 (미정) / 생체모방 및 바이오 센서, 나노광학 및 바이오 포토닉스, 초분광 센서 학력사항 2014. 03 ~ 2018. 08 고려대학교대학원 전자정보공학과 공학박사 (ICT융합기술) 2011. 09 ~ 2014. 02 고려대학교대학원 전자정보공학과 공학석사 (바이오 센서 및 센서 응용) 2004. 03 ~ 2011. 08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전자및정보공학부 공학사 (반도체 센서) 경력사항 2023. 03 ~ present 세명대학교 전기공학과 조교수 2019. 11 ~ 2023. 0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연구원 2018. 09 ~ 2019. 10 고려대학교 광전자신소재연구소 연구교수 2017. 09 ~ 2018. 02 고려대학교 강사 2016. 09 ~ 2017. 02 고려대학교 강사 성명/소속 박현희 / 서울시립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연구실명/연구분야 Wave Engineering Laboratory / 광자 딥러닝 및 Programmable Photonics 학력사항 2015. 08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박사 (Control of Fano Resonance in Plasmonic and Optical Systems for Highly-Sensitive Spectral Responses) 2008. 07 하얼빈공업대학교, School of Astronautics, Electronic Science and Technology 경력사항 2023. 09 ~ present 서울시립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조교수 2020. 05 ~ 2023. 08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2015. 10 ~ 2020. 04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원 박사후연구원 성명/소속 홍성진 / 중앙대학교 물리학과 연구실명/연구분야 양자광학연구실 / 양자 광학 학력사항 - 박사 (Transient response control in laser cavity for rare-earth ion and atomic vapor gain media) 경력사항 2022 ~ 2023 Oak Ridge National Lab 박사후연구원 2020 ~ 2022 KIST 박사후연구원 성명/소속 김재영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연구실명/연구분야 비침습의공학 중개의학연구실 (NBA-I) / 비침습 정밀의료 영상 시스템 (열, 형광, 가시광) 개발 및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개발 학력사항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용생체공학 박사 (A study of theragnostics based on optical molecular imaging by the lock-in technique) 경력사항 2023. 09 ~ present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Rep. of Korea 2023. 02 ~ 2023. 08 Visiting professor, Department of Dermatology and Skin Scienc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Departments of Cancer Control Research and Integrative Oncology, British Columbia Cancer Agency, Vancouver, BC, Canada 2015 ~ 2023 Research Professor, Research Institute for Skin Image, College of Medicine, Rep. of Korea 2014 ~ 2017 Research Associate,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Asan Medical Center, Seoul, Rep. of Korea 2009 ~ 2012 Research Professor, Research Institute for Skin Image, College of Medicine, Rep. of Korea 성명/소속 이규섭 / 부경대학교 물리학과 연구실명/연구분야 테라스핀연구실(TeraSpin Lab.) / 테라헤르츠 분광학 및 초고속 스핀트로닉스 응용 학력사항 2017. 08 박사 (Optical and electronic properties in CH3NH3PbI3 perovskites using the terahertz waves generated via nonlinear optical processes) 경력사항 2023. 03 ~ present 부경대학교 조교수 2017. 09 ~ 2023. 02 싱가포르 국립 대학 박사후연구원 성명/소속 이창민 / 한양대학교 물리학과 연구실명/연구분야 양자물질 동역학 연구실 / 초고속광학 및 응집물질물리학 학력사항 2018. 09 박사 / MIT 물리학 (Nonlinear optical and photoemission spectroscopies of quantum materials) 2011. 05 학사 / UC Berkeley 물리학 및 수학 경력사항 2023. 03 ~ present 한양대학교 물리학과 조교수 2018. 11~2023. 02 Postdoctoral Scholar,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학회소식 한국광학회 제33대 회장 추천권자 명부 공지 안내 2023.11.01 한국광학회 회원 여러분, 회원님의 건승하심과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제 33대 한국광학회 회장 추천권자 명부를 안내하여 드립니다. 제 33대 회장 추천권자 자격은 2023년 11월 1일 기준 명단 공지 시 2023년도 연회비를 납부한 평의원에 한하며, 명부는 첨부파일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학회소식 2025년도 한국광학회 제33대 회장 후보 추천 공고 2023.10.10 문서번호 : 한광 2023-96 시행일자 : 2023. 10. 10. 수 신 처 : 평의원 제위 제 목 : 2025년도 한국광학회 제33대 회장 후보 추천 공고 1. 귀하의 건승하심과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2025년도 한국광학회 제33대 회장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하고 동 위원회의 결의에 따라 회장 후보 추천을 공고하오니 후보자를 아래와 같이 추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관련근거: 정관 제12조(임원의 선출방법), 제16조(총회의 구성 및 기능), 세칙 제4조 (후보자격, 등록 및 선정), 회장선거관리규정 제7조(투표권자의 자격), 제8조(추천인의 자격) ▶ 정관 제12조(임원의 선출방법) ① 회장은 정회원의 직접선거에 의하여 취임 1년 전에 선출하며, 부임전까지 차 기회장의 명칭을 부여한다.(중략) 선출된 임원은 주무부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 정관 제16조(총회의 구성 및 기능) 총회는 정회원으로 구성하고 다음 사항을 심의 의결한다. ① 임원의 선출 ▶ 세칙 제4조 (후보자격, 등록 및 선정) ① 회장후보는 평의원 20인 이상의 서면 추대에 의하여 추천된다. ▶ 회장선거관리규정 제7조 (투표권자의 자격) 세칙 제5-2조 (투표권)에서 정회원의 의무를 다한 회원이라 함은 소정의 회비를 납부하고 정관에 정한 자격을 갖춘 자를 의미한다. ▶ 회장선거관리규정 제8조 (추천인의 자격) 세칙 제4조에 따라 회장후보를 추천하는 평의원은 본 규정 제7조에 정하는 투표권자의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 아 래 - 가. 추천 방법: ① 회장 후보 추천서는 개인별 또는 여러 평의원의 연명으로 작성한다. ② 회장 후보 추천서는 한국광학회 소정양식(별첨1)에 다음 내용을 기재한 것으로 한다. - 제33대 회장 후보 성명 및 소속 - 추천 년 월 일, 추천자 성명, 추천자 소속, 추천자 서명 ③ 회장 후보 추천서는 서면, 이미지 파일, 스캔본 파일을 이메일 또는 FAX로 접수한다. 나. 추천권자 명부 확정일 및 공고일: 2023년 11월 1일(수) ※추천권자 자격: 2023년 11월 1일 기준 명단 공지 시 연회비를 납부한 평의원에 한함. 다. 회장 후보 추천서 접수마감: ① 마감 일자: 2023년 11월 10일(금) 18:00 ② 접수 마감: 이메일 및 FAX는 18시까지 사무국 도착 기준, 우편물인 경우 소인 기준 라. 회장 후보 추천서 접수장소: ① 주소 : 04157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320 태영데시앙 1610호 한국광학회 제33대 회장선거관리위원회 ② 이메일 : osk@osk.or.kr ③ FAX : (02) 3452-6563 마. 후보등록 마감: 2023년 11월 24일(금) 18:00 ① 등록 서류: 회장 후보 이력서, 소견서, 동영상 홍보 자료 ② 등록 방법: 우편, 이미지 파일, 스캔본 파일 이메일, FAX ③ 등록 마감: 이메일 및 FAX는 18시까지 사무국 도착 기준, 우편물인 경우 소인 기준 별첨: 1. 한국광학회 제33대 회장 후보 추천서 1부. 2. 평의원 명부 1부. 끝. 한국광학회 제33대 회장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직인생략) 학회소식 2024년도 한국광학회상 수상후보자 추천공고 (연장) 2023.10.06 2024년도 한국광학회상 수상후보자 추천공고 제35회 정기총회 및 2024년도 동계학술발표회에서 시상할 한국광학회상 수상후보자 추천을 다음과 같이 공모합니다. 탁월한 연구로 학문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회원을 적극 추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광학회 제28대 포상위원회 위원장 전민용 ■ 학회상에 의한 포상 (추천 마감일 : 2023년 11월 17일(금)) 수상 구분 수상 대상 시상 내용 추천권자 학술대상 다년간 우수한 논문을 발표하였거나 우수한 저서를 집필하는 등 연구업적이 탁월하여 광학 발전에 공로가 지대하다고 인정되는 자 (정회원) [공문, 시상계획서, 추천서 다운로드] 상패, 상금 200만원 전임 회장, 이사, 분과위원장 (각 분과당 1~3인의 후보자 추천) 및 평의원 젊은 광과학자상 박사과정 이상 대학원생 또는 박사학위 후 3년 이내이며 만 35세 미만 (추천마감일 기준)으로 광학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업적을 이루고 성장 잠재성이 인정되는 자 [공문, 시상계획서, 추천서 다운로드] 상패, 상금 100만원 전임 회장, 이사, 분과위원장 (각 분과당 1~3인의 후보자 추천), 평의원 및 정회원(박사과정 지도교수에 한함) 기술상 광학 및 광산업 분야에서 우수한 기술 개발을 수행하였거나 우리나라 광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고 인정되는 자 [공문, 시상계획서, 추천서 다운로드] 상패 전임 회장, 이사, 분과위원장 (각 분과당 1~3인의 후보자 추천) 및 평의원 논문상 본 학회가 발간하는 국문지인 한국광학회지에 지난 1년간 논문을 게재하였고 광학분야에서 학문적 우수성이 인정되는 자 (정회원) 상패, 상금 100만원 전임 회장, 이사, 국문지 편집위원장, 국문지 편집간사 논문 장려상 본 학회가 발간하는 국문지인 한국광학회지에 지난 1년간 게재된 논문의 저자 중에서 장래가 촉망되는 대학원생 (학생회원) 상패, 상금 50만원 전임 회장, 이사, 국문지 편집위원장, 국문지 편집간사 OSKJ 기여상-국문지 지난 1년간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본 학회의 국문지인 한국광학회지에서 최근 2년간 발간된 논문을 다수 인용한 자 (정회원) 상패, 상금 30만원 전임 회장, 이사, 국문지 편집위원장, 국문지 편집간사 OSKJ 기여상-영문지 지난 1년간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본 학회의 영문지인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COPP)에서 최근 2년간 발간된 논문을 다수 인용한 자 (정회원) 상패, 상금 50만원 전임 회장, 이사, 영문지 편집위원장, 영문지 수석 부편집장 Optica Student Prize 본 학회가 발간하는 영문지인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COPP)에 지난 1년간 발간된 논문의 저자 중에서 최근 3년간 다수의 우수 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한 장래가 촉망되는 대학원생 (학생회원) 상패, 왕복항공권 (※ Optica 제공) 전임 회장, 이사, 영문지 편집위원장, 영문지 수석 부편집장 과총 우수논문상 본 학회가 발간하는 영문지인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COPP)에서 지난 1년간 게재된 논문의 저자 중 광학분야에서 학문적 우수성이 인정되는 자 (정회원) 상패 전임 회장, 이사, 영문지 편집위원장, 영문지 수석 부편집장 공로상 본 학회 발전에 현저한 공헌을 한 자 상패 전임 회장, 이사, 분과위원장 (각 분과당 1~3인의 후보자 추천) 및 평의원 감사패 한국광학회의 발전을 위하여 광학 또는 관련 기술의 보급과 일반 계몽에 현저히 기여한 단체나 기관 상패 전임 회장, 이사, 분과위원장 (각 분과당 1~3인의 후보자 추천) 및 평의원 ■ 기탁금에 의한 포상 (추천 마감일 : 2023년 11월 3일(금) → 2023년 11월 15일(수)) 수상 구분 수상 대상 시상 내용 추천권자 광기술 혁신상 본 학회의 회원으로서 최근 5년 이내에 본 학회 학술지 (한국광학회지,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등) 및 광기술분과 관련 국내·외 SCI 학술지에 가장 창의성(originality)이 우수한 논문을 발표한 자 또는 한국 광산업 발전에 기여가 지대한 자 [시상계획서, 추천서 다운로드] 상패, 상금 200만원 한국광학회 회원 해림 광자공학상 본 학회의 정회원으로서 최근 5년 이내에 본 학회 학술지 (한국광학회지,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등) 및 국내·외 SCI 학술지에 광자공학 분야에서 창의성 있는 우수한 논문을 발표하여 학문 발전에 크게 기여한 자 [시상계획서, 추천서 다운로드] 상패, 상금 100만원 한국광학회 회원 레이저 과학상 본 학회의 회원으로서 최근 5년 이내에 본 학회 학술지 (한국광학회지,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등) 및 양자전자 분과 관련 국내·외 SCI 학술지에 우수한 논문을 발표하거나 레이저 과학기술의 발전에 기여도가 큰 자 [시상계획서, 추천서 다운로드] 상패, 상금 200만원 한국광학회 회원 학회소식 2023년 한국광학회 젊은과학자 학술연구 지원 사업 신청 안내 2023.09.18 2023년 한국광학회 젊은과학자 학술연구 지원 사업 1. 사업 목적 ○ 국내 대학 신규 교원 (조교수) 및 정부출연 연구소의 선임연구원 등의 학자가 한국광학회의 인프라, 네트워크 및 분과 활동을 활용하여 연구기반을 구축하고 학회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함 2. 사업 개요 ○ 국내 대학 또는 정부출연 연구소에 신규로 임용된 교원/학자를 선발하여 한국광학회 주관 행사 등록 및 논문 게재에 사용 가능한 포인트를 지급 3. 지원 원칙 ○ 지원 대상: 국내 대학에 2023년 3월 1일 이후 신규 임용된 전임 교원 (조교수) 또는 정부출연 연구소 선임연구원, 만 40세 이하 ○ 지원 내역: 한국광학회 100만 포인트 지급 (100만원 상당) ○ 지원 규모: 연간 O명 내외 ○ 의무 사항: 학회 정회원 또는 종신회원 가입 4. 포인트 사용 ○ 사용 기한: 포인트 지급 후 2년 이내 ○ 사용 범위: 한국광학회 주관 행사 등록비 (국내학술대회, 국제학술대회, 워크샵, 단기강좌 등), 한국광학회논문지 게재료 ○ 사용 대상: 본인 5. 선발 절차 사업 공고 ⇨ 신청서 접수 ⇨ 선정 평가 및 통보 ⇨ 지원 시작 9월 9월 10월 10월 6. 모집마감 ○ 2023년 9월 30일 접수분 까지 7. 지원 방법 ○ E-mail: osk@osk.or.kr ○ 메일제목: 젊은과학자 학술연구 지원 사업 신청 ○ 첨부파일명: 2023년도 젊은과학자 학술연구 지원 사업 신청서 더보기 최근논문 [Editor's Pick]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Vol. 7 no. 5 (2023 October) Volume-sharing Multi-aperture Imaging (VMAI): A Potential Approach for Volume Reduction for Space-borne Imagers Jun Ho Lee1,2 *, Seok Gi Han1, Do Hee Kim1, Seokyoung Ju1, Tae Kyung Lee3, Chang Hoon Song3, Myoungjoo Kang3, Seonghui Kim4, and Seohyun Seong4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Vol. 7 No. 5 (2023 October) pp. 545-556 DOI: https://doi.org/10.3807/COPP.2023.7.5.545 Fig. 2 Illustration of volume-sharing multi-aperture imaging (VMAI) with one wide-field and three narrow-field cameras: (a) Unfolded and (b) compactly folded. Keywords: Deep-learning, Earth observation, Image fusion, Volume-sharing multi-aperture imaging OCIS codes: (110.3010) Image reconstruction techniques; (120.3620) Lens system design;(120.4640) Optical instruments; (220.4830) Systems design; (220.4991) Passive remote sensing Abstract This paper introduces volume-sharing multi-aperture imaging (VMAI), a potential approach proposed for volume reduction in space-borne imagers, with the aim of achieving high-resolution ground spatial imagery using deep learning methods, with reduced volume compared to conventional approaches. As an intermediate step in the VMAI payload development, we present a phase-1 design targeting a 1-meter ground sampling distance (GSD) at 500 km altitude. Although its optical imaging capability does not surpass conventional approaches, it remains attractive for specific applications on small satellite platforms, particularly surveillance missions. The design integrates one wide-field and three narrowfield cameras with volume sharing and no optical interference. Capturing independent images from the four cameras, the payload emulates a large circular aperture to address diffraction and synthesizes highresolution images using deep learning. Computational simulations validated the VMAI approach, while addressing challenges like lower signal-to-noise (SNR) values resulting from aperture segmentation. Future work will focus on further reducing the reduction ratio and refining SNR management. [하이라이트 논문] 한국광학회지 Vol. 34 No.5 (2023 October) BL-ASM에서 U-net 기반 위상 홀로그램의 스펙클 노이즈 감소와 이미지 품질 향상 Speckle Noise Reduction and Image Quality Improvement in U-net-based Phase Holograms in BL-ASM 남오승1ㆍ권기철1ㆍ정종래2ㆍ이권연3ㆍ김 남1† 한국광학회지 Vol. 34 No.5 (2023 October) pp. 192-201 DOI: https://doi.org/10.3807/KJOP.2023.34.5.192 Fig. 1 Definition of the coordinate system of sampling window in the angular spectrum method. (a) Coordinate system of sampling window. (b) Coordinate system of source field. Keywords: 디지털 홀로그래피, 전파 방법, 해상도, 스펙클 OCIS codes: (030.6140) Speckle; (080.1510) Propagation methods; (090.1995) Digital holography; (350.5730) Resolution 초록 Band-limited angular spectrum method (BL-ASM)는 공간주파수 제어의 문제로 aliasing 오류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상 홀로그 램에 대한 표본화 간격 조정 기법과 딥 러닝 기반의 U-net 모델을 사용한 스펙클 노이즈 감소 및 이미지 품질 향상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에서는 넓은 전파 범위에서 aliasing 오류를 제거할 수 있도록 먼저 샘플링 팩터를 계산하여 표본화 간격 조절에 의한 공간주파수를 제어 함으로써 스펙클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그 후 딥 러닝 모델을 적용한 위상 홀로그램을 학습시켜 복원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다양한 샘플 이미지에 대한 S/W 시뮬레이션에서 기존의 BL-ASM과의 peak signal-to-noise ratio (PSNR), structural similarity index measure (SSIM)을 비교할 때 각각 평균 5%, 0.14% 정도 비율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e band-limited angular spectrum method (BL-ASM) causes aliasing errors due to spatial frequency control problems. In this paper, a sampling interval adjustment technique for phase holograms and a technique for reducing speckle noise and improving image quality using a deep-learning-based U-net model are proposed. With the proposed technique, speckle noise is reduced by first calculating the sampling factor and controlling the spatial frequency by adjusting the sampling interval so that aliasing errors can be removed in a wide range of propagation. The next step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constructed image by learning the phase hologram to which the deep learning model is applied. In the S/W simulation of various sample images, it was confirmed that the peak signal-to-noise ratio (PSNR) and structural similarity index measure (SSIM) were improved by 5% and 0.14% on average, compared with the existing BL-ASM. 더보기 공지사항 행사안내 2023 광통신 소부장 기업 네트워킹 데이 안내 2023.11.24 ★이미지 클릭시 사전참가 등록 가능★ 사전 참가 등록 링크 : https://url.kr/lg5tnb 행사안내 [산업교육연구소] 전자기기 HW 성능 향상을 위한 고방열/하이브리드 신개념 방열소재 심층 분석 및 실제 적용사례 세미나 개최 2023.11.23 ■ 인사말 전자기기에서 주목하고 있는 신개념 방열소재에서 우리나라 최고 기업인 삼성전자의 연구기술 개발의 현주소 및 실제 적용사례와 사업모델을 체계적으로 소개하고 향후 연구기술 개발 방향 제시를 위한 소중한 시간을 갖고자 하오니 관계되시는 분들의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 행사개요 (본 세미나는 온라인/오프라인 동시 진행됩니다.) 1. 행사명 : 전자기기 HW 성능 향상을 위한 고방열/하이브리드 신개념 방열소재 심층 분석 및 실제 적용사례 세미나 2. 일 시 : 2023년 12월 8일(금) 14:00~16:30 3. 장 소 : 산업교육연구소 세미나실 (서울 구로동) / 온라인 스트리밍 4. 등 록 : 온라인등록(https://www.kiei.com)또는 전화등록 5. 주 최 : 산업교육연구소 6. 문 의 : (02)2025-1333~7 ■ 프로그램 (세부목차는 홈페이지(https://www.kiei.com)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고방열 특성 확보를 위해 요구되는 방열소재 특성 및 이를 활용한 사례 - 단열 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소재 특성 및 이를 활용한 사례 - 상변화 특성을 가진 소재 종류 및 이를 응용한 발열 개선 사례 - 저유전 특성을 가진 고방열 방열 부품 구현을 위한 소재 특성 및 이를 활용한 사례 ※ 본 행사는 사전등록이 마감될 경우, 현장등록은 불가능하오니 사전등록 바랍니다. ※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https://www.kiei.com) 또는 전화 (02)2025-1333~7 문의바랍니다. ※ 산업교육연구소는 다양한 주제별로 개최했던 지난 세미나의 녹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제2의 산업교육연구소(https://www.kiei21.com/)를 운영 중입니다. 행사안내 [CLEO-PR 2024] The 2nd Newsletter 2023.11.17 행사안내 [나노기술연구협의회 동계 학술대회] NCC 2024 개최 안내 2023.11.13 NCC 2024 홈페이지 : https://www.nano-ncc.or.kr/ > 구인구직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모집 2023.11.0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자광학팀에서 양자네트워킹 분야 연구에 참여할 박사후연구원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소정의 협의를 거쳐 최고 수준의 양자광학 연구 그룹인 미국 일리노이대학교(UIUC) 물리학과로의 연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양자정보처리에 대한 경험이 있으면 좋지만, 일반적인 광소자를 다루는 경험 만으로도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많습니다. 세부전공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 적극적인 지원 바랍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연락도 환영합니다. ■ 모집인원: 1명 ■ 업무 - 양자광학 및 포토닉스 연구 - 양자네트워킹과 양자센싱 응용연구 ■ 자격 - 박사학위 취득 5년 미만 또는 2024년 2월 박사학위 취득 예정자 ■ 모집일정 - 2023년 11월 22일까지 (적임자 없을 시 추후 재공고) - 홈페이지 ('양자광학2' 분야): https://www.kriss.re.kr/board.es?mid=a10502020000&bid=0006&cg_code=&act=view&list_no=62186&tag=&nPage=1 https://www.hibrain.net/recruitment/recruits/3438039?listType=RECOMM&pagekey=3438039&adId=130230 - 임용예정일: 협의 가능 ■ 연락처 - hspark@kriss.re.kr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자광학팀 박희수) 더보기
Upcoming Events Photonics Conference 2023 (PC 2023) 휘닉스파크 평창 2023.11.29 ~ 2023.12.01 The 13th Japan-Korea Workshop on Digital Holography & Information Photonics (DHIP 2023) B-con Plaza, Beppu 2023.12.18 ~ 2023.12.20 제35회 정기총회 및 2024년도 동계학술발표회 수원컨벤션센터 2024.02.14 ~ 2024.02.16 더보기